안녕하세요, 오늘은 평소 독서를 즐기며 자신만의 책 이야기를 들려주는 배우 문가영 님이 추천하는 인생 책 3권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이미 '파타'라는 책도 내셨던데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서점에서 관심있게 몇 번 들춰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1. 사피엔스 - 유발 하라리
여러분, 혹시 '인류의 역사가 지루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사피엔스는 그런 편견을 완전히 바꿔놓은 책이에요. 하라리 교수는 70만 년 전 인류의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마치 흥미진진한 모험 소설처럼 풀어냅니다.
사피엔스가 들려주는 이야기
1. 인류의 진화와 발전 과정 |
2. 문화와 문명의 탄생 비화 |
3. 현대 사회의 뿌리 찾기 |
4. 미래 인류에 대한 전망 |
문가영 배우는 이 책에 대해 "역사책이라고 생각하고 시작했는데, 읽다 보니 우리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은 책이었다"고 말했다고 해요. 특히 인지혁명 파트에서 인간만이 가진 '상상하는 능력'에 대한 이야기는 배우로서 많은 공감을 했다고 합니다.
하라리의 날카로운 통찰은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던 것들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요. 예를 들어, 농업혁명이 인류 최대의 사기였다는 주장은 꽤나 충격적이죠. 수렵채집인들은 하루 3-4시간만 일하고도 충분한 식량을 구할 수 있었는데, 농업이 시작되면서 오히려 더 고된 노동을 하게 되었다는 거예요.
2. 면도날 - 서머싯 몸
'면도날'은 문가영 배우가 매년 한 번씩 꼭 읽는다는 책이에요.
이 소설은 인도를 배경으로 한 주인공 래리의 깨달음을 찾아가는 여정을 그리고 있죠.
면도날의 주요 메시지
- 삶의 의미 탐구 |
- 물질적 성공과 정신적 충만감의 대비 |
- 동양과 서양 철학의 만남 |
- 자아실현의 여정 |
문가영 배우는 인터뷰에서 "바쁜 일상 속에서 자칫 잊기 쉬운 삶의 본질적인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는 책"이라고 이야기했어요.
특히 주인공 래리가 물질적 성공을 뒤로하고 진정한 행복을 찾아 떠나는 용기가 인상 깊었다고 해요.
이 책의 주인공 래리는 1차 세계대전 참전 후 삶의 의미를 찾아 방황하는 청년이에요. 그가 인도에서 수행하며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이 정말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죠. "면도날처럼 예리하게 진실을 찾아라"라는 구절은 많은 독자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주었다고 해요.
3. 명상록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이 책은 이미 많이 제 블로그에서 다뤘던 책이에요. 그만큼 좋아하기도 하고 두 어번 재독했던 책이기도 합니다.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철학자였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은 약 20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책이에요. 문가영 배우는 "불안하고 힘들 때마다 이 책을 펼쳐본다"고 했죠.
- 통제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수용 |
- 순간에 충실한 삶의 태도 |
- 진정한 행복의 의미 |
- adversity(역경)를 대하는 자세 |
특별한 점은 이 책이 원래 출판을 목적으로 쓰여진 게 아니라는 거예요.
황제였던 그가 개인적인 성찰과 깨달음을 기록한 일종의 일기였죠. 그래서 더욱 진솔하고 깊이 있는 통찰을 만날 수 있어요.
문가영 배우는 특히 이런 구절을 인상 깊게 봤다고 해요. "아침에 일어날 때 생각하라. 오늘 나는 참견하기 좋아하는 사람, 배은망덕한 사람, 거만한 사람, 교활한 사람, 질투심 많은 사람, 이기적인 사람과 마주치게 될 것이다. 그들이 그런 잘못에 빠진 것은 선과 악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치는 어려운 상황이나 사람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데 큰 도움을 준다고 해요. 연예계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일하는 문가영 배우에게도 이런 가르침이 큰 위로가 되었을 것 같네요.
명상록의 또 다른 매력은 짧은 문장 속에 담긴 깊은 통찰이에요. 예를 들어 "당신이 깊이 슬퍼하는 것들 중 어느 것이 당신의 영혼을 훼손하는가?"라는 질문은 우리가 겪는 어려움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해주죠.
문가영 배우는 "바쁜 일상 속에서도 틈틈이 한 구절씩 읽으면서 마음의 중심을 잡으려 노력한다"고 했어요. 정말 공감되는 말이죠? 우리도 일상에 지칠 때마다 이 오래된 지혜의 책을 펼쳐보는 건 어떨까요?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Hidden Meanings in Han Kang's "The Vegetarian": A Multi-layered Analysis of Violence and Human Nature (0) | 2025.02.11 |
---|---|
우원박 박정민 배우 추천 책 7권 (2) | 2025.02.11 |
알베르 카뮈 『이방인』, 다시 읽어보니 (0) | 2025.02.10 |
자기계발 팟캐스트 추천 조승연 작가의 팟캐스트 활용법 (0) | 2025.02.10 |
햄릿, 윌리엄 셰익스피어 한 번에 요약하기 (0) | 2025.02.09 |
댓글